[한국갤럽]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이재명 22%, 한동훈 15% , 조국 5%, 홍준표·이준석 3%, 오세훈 2%

박채호 기자 승인 2024.06.17 21:33 의견 0

한국갤럽이 6월 11~13일 전국 유권자 1,000명에게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정치 지도자, 즉 장래 대통령감으로 누가 좋다고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자유응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22%,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15%,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5%, 홍준표 대구시장,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각각 3%, 오세훈 서울시장 2%,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김동연 경기도지사, 원희룡 전 국토부장관 각각 1% 순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271명)의 52%가 이재명을, 국민의힘 지지자(301명)의 43%가 한동훈을 지지해 이외 자당 소속 인물들(10% 미만)과 큰 차이를 보였다.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 살포 '위협적이다' 60%, '위협적이지 않다' 36%

최근 북한이 남쪽으로 오물풍선을 보내고 있다. 한국갤럽이 2024년 6월 11~13일 전국 유권자 1,000명에게 그러한 행위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물은 결과 '위협적이다' 60%, '위협적이지 않다' 36%로 나타났다. 4%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남 오물풍선의 위협성은 남성(54%)보다 여성(66%)이 더 많이 느끼며, 정치적 성향(보수 61%; 진보 57%)이나 지지정당(국민의힘 61%; 더불어민주당 61%)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다.

북 확성기 방송 재개 '잘한 일' 55%, '잘못한 일' 32%

정부는 북한 오물풍선에 대응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다. 이에 관해서는 유권자 중 55%가 '잘한 일', 32%는 '잘못한 일'이라고 평가했으며 12%는 의견을 유보했다. 연령별로 보면 20·30대와 60대 이상은 긍정론 우세, 40·50대는 긍·부정 시각이 비슷하게 갈렸다.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에 관한 생각은 오물풍선 위협성 인식보다 정치적 태도에 따른 차이가 컸다. 대통령 긍정 평가자, 국민의힘 지지자의 약 80%, 성향 보수층의 73%가 '잘한 일'로 봤으나, 대통령 부정 평가자·야당 지지자·성향 진보층 등에서는 그 비율이 40%를 밑돌았다.

대북 전단 살포: '정부가 막아야 한다' 60%, '막아선 안 된다' 30%

일부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해서는 '정부가 막아야 한다' 60%, '막아선 안 된다' 30%로 나타났다.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대북 전단 살포 저지론이 우세하고, 국민의힘 지지자·성향 보수층 등에서는 찬반이 갈렸다.

내년 의대 입시 정원 확대 '잘된 일' 66%, '잘못된 일' 25%

내년 대학입시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이 기존 3,000여 명에서 4,500여 명으로 늘었다. 이에 관한 유권자의 생각은 '잘된 일' 66%, '잘못된 일' 25%로 조사됐다. 9%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의대 증원에 긍정적이며, 여야 지지자 간 온도 차는 있으나 방향성은 일치했다.

지난 2월 의대 정원을 기존 3천 명에서 5천 명으로 늘린다는 정부 발표 직후 조사에서는 76%가 긍정적으로 봤다. 이후 정부와 의사계가 강경 대치했고, 4월 16~18일 조사에서는 '정부안대로 2천 명 정원 확대 추진' 41%, '규모·시기 조정 중재안 마련' 47%, '증원 철회' 7%로 유권자 절반가량이 양측 타협을 바랐다. 그러나 5월 30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내년도 의과대학 대입전형 계획을 발표, 이어 대학들이 신입생 모집 요강을 게시하면서 비가역적 상황에 다다랐다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표 '신뢰한다' 28%, '신뢰하지 않는다' 60%

3일 우리나라 동해에 상당량의 석유와 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다는 발표가 있었다. 그로부터 1주일 경과한 11~13일, 한국갤럽이 전국 유권자 1,000명에게 정부 발표를 신뢰하는지 물었다. 그 결과 '신뢰한다' 28%, '신뢰하지 않는다' 60%로 나타났다. 12%는 의견을 유보했다.

정부 발표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대통령 긍정 평가자(63%), 국민의힘 지지자(58%), 70대 이상(48%)에서만 많았다. 성향 보수층, 대구·경북 거주자 등에서는 신뢰와 불신이 팽팽하게 나뉘었고, 이외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는 불신이 더 컸다.

저작권자 ⓒ 노스경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