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21일 'K-컬처밸리사업 추진계획'에 대한 기자회견에서 "아레나 우선개발로 민간기업은 아레나에 집중할 수 있게 되고, 공모지침 완화로 기업 부담은 줄어들 수 있으며, GH가 K-컬쳐밸리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민간 사업자의 금융여건은 더욱 좋아질 것"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 최고 기업을 적극 유치하여 우리의 K-컬처밸리가 세계적인 문화허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지난해 6월 CJ라이브시티와의 협약을 해제하고, 7월 K-컬처밸리를 ‘원형그대로, 신속히, 책임있는 자본 확충을 통해’ 사업 추진하겠다는 3대 원칙을 밝힌 바 있다.
김 부지사는 "경기도는 작년 9월 CJ라이브시티로부터 상업용지를 반환받았으며,
공사 중단된 아레나 건축구조물도 기부채납 받아 사업추진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며, "이후 고양시, GH, 민간전문가와 함께 K-컬처밸리 테스크포스팀을 구성하여, ‘사업화방안 수립 예비용역’을 통해, 아레나 건립 방안과 사업추진 방식을 논의해 왔다"고 설명했다.
추진 계획에 대해 김 부지사는 "K-컬처밸리 9만 2천평 가운데 경기도와 GH에서는 아레나를 포함한 T2부지 4만8천평을 우선 건립하고 운영할 민간기업 공모를 진행하겠다"며 "K-pop 공연장 부족으로 미국 유명 여가수의 글로벌 투어 등에서 코리아 패싱이 일어나고 있고, 창동, 잠실 등에서 아레나 시설 건립이 추진되어 신속한 착공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도의회와 고양시 주민의 요구도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어 "공모에 민간사업자 참여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용적율․건폐율 상향 제안, 구조물 장기임대, 지체상금 상한 설정 등 공모 조건이 최대한 완화되도록 하겠다"며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투자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유치 활동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김 부지사가 밝힌 민간기업 공모시점은 4월초로 아레나는 빠르면, 25년 연내에 재착공하여 28년에 준공될 것으로 보인다.
또 김 부지사는 "다음으로, T1과 A, C부지 등 나머지 4만4천평은 올 한해 동안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후, GH 주관으로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며 "마스터플랜 과정에서 도의회와 도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k-컬처밸리의 비젼과 전략을 재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K-컬처밸리와 그 주변 일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어 국내외 기업의 투자 여건이 개선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약 6천억원 규모의 K-컬처밸리 도유자산을 GH에 현물 출자하여, K-컬처밸리 사업추진의 재무적 기반을 확고히 하고, 도의회 및 고양시와 협의하여 K-컬처밸리 사업 지원을 위한 경기도 조례 및 고양시 조례 제정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부지사는 "20여년이 지나는 동안 한류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랐으며, 지난해 9월에는 한류산업진흥기본법도 제정되었고, 킨텍스, 방송영상밸리, 일산테크노밸리, GTX 개통 등으로 입지 여건은 매우 좋아졌다"며 "CJ와의 협약해지 이후 아레나 시설물의 기부채납이 완료되어 사업 재착수를 위한 사업추진 기반이 마련되어, 아레나 우선개발로 민간기업은 아레나에 집중할 수 있게 되고, 공모지침 완화로 기업 부담은 줄어들 수 있으며, GH가 K-컬쳐밸리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민간 사업자의 금융여건은 더욱 좋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